지난달 서울 마포구의 한 휴대전화 케이스 매장에선 직원들보다 손님들이 더 분주한 모습이었다. 매장에서 판매되는 건 아무 장식도 없는 투명 케이스로 여기에 디자인을 입히는 건 손님들의 몫이었다. 손님들은 아이언맨, 슈퍼맨 같은 캐릭터나 꽃 모양의 장식을 직접 골라 원하는 위치에 조심스럽게 붙였다. 장식의 종류와 붙이는 위치에 따라 최종 디자인이 다르기 때문에 이 매장을 찾은 손님들은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휴대전화 케이스를 만들 수 있다.
최근 경험과 개성을 중시하는 젊은 소비자가 늘면서 완성품보다 제품 제작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미완성 상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른바 키트(kit) 상품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제품 제작 전반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순서에 따라 조립만 해주면 된다. 간단하지만 상품 제작에 참여하면서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젊은층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휴대전화 케이스 매장의 손님 대부분은 10, 20대였다. 매장 관계자는 “직접 제품을 만들면서 즐거움을 느끼는 것 같다”며 “최근 손님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고 말했다.
꽃시장에서 향을 직접 고르고 배합해 ‘나만의 디퓨저(방향제)’를 만드는 고객도 늘고 있다. 향뿐만 아니라 용기와 향이 스며드는 스틱을 소비자가 직접 고를 수 있다. 서울 강남고속버스터미널 화훼상가 관계자는 “향 종류만 200종이 넘는다. 직접 향을 고르는 재미가 있어 기성품보다 더 선호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담금주 만들기도 키트 상품 덕분에 최근 다시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용기를 구입하고 재료를 손질하는 등 번거로운 과정 때문에 잘 하지 않는 방식이지만 ‘담금주 키트’가 출시된 이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선 담금주 인증샷이 잇달아 올라오고 있다. 용기에 재료 배합이 모두 돼 있기 때문에 원하는 종류의 술을 넣어주기만 하면 된다. 롯데주류에 따르면 ‘처음처럼’ 담금용 소주 판매량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10% 이상 늘었다. 롯데주류 관계자는 “최근 전통 담금주부터 칵테일까지 다양한 키트들이 나오면서 관련 소비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재료 손질과 양념 배합이 모두 돼 있어 라면을 끓이는 것처럼 순서대로 넣기만 하면 되는 반조리 상품 밀키트(meal-kit) 시장도 커지고 있다. 전자레인지에 넣거나 물에 끓이기만 하는 가정간편식(HMR)과 달리 요리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야쿠르트에 따르면 밀키트 브랜드 ‘잇츠온’ 연간 매출은 출시 첫해인 2017년 90억 원에서 지난해 180억 원으로 급증했다. 업계는 올해 밀키트 시장 규모가 전년보다 2배 이상으로 커진 400억 원대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밀키트 시장은 2016년 동원홈푸드를 시작으로 한국야쿠르트, GS리테일, 현대백화점, 롯데마트, 갤러리아 등이 잇따라 뛰어들면서 매년 확대되고 있다. 올해 4월 밀키트 시장에 뛰어든 CJ제일제당은 올해 100억 원 매출 목표를 달성하고 3년 안에 1000억 원 규모로 브랜드를 키울 계획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메뉴는 비빔밥, 감바스 등 60여 종이며 2년 내 200여 종까지 메뉴를 늘릴 계획이다.
우리보다 먼저 밀키트 시장이 형성된 미국은 시장 규모가 지난해 기준 3조5340억 원까지 커졌고, 같은 해 일본도 8859억 원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금융기업 골드만삭스는 전 세계 밀키트 시장규모가 내년에 최대 50억 달러(약 6조800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806/96859620/1
지난달 서울 마포구의 한 휴대전화 케이스 매장에선 직원들보다 손님들이 더 분주한 모습이었다. 매장에서 판매되는 건 아무 장식도 없는 투명 케이스로 여기에 디자인을 입히는 건 손님들의 몫이었다. 손님들은 아이언맨, 슈퍼맨 같은 캐릭터나 꽃 모양의 장식을 직접 골라 원하는 위치에 조심스럽게 붙였다. 장식의 종류와 붙이는 위치에 따라 최종 디자인이 다르기 때문에 이 매장을 찾은 손님들은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휴대전화 케이스를 만들 수 있다.
최근 경험과 개성을 중시하는 젊은 소비자가 늘면서 완성품보다 제품 제작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미완성 상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른바 키트(kit) 상품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제품 제작 전반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순서에 따라 조립만 해주면 된다. 간단하지만 상품 제작에 참여하면서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젊은층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휴대전화 케이스 매장의 손님 대부분은 10, 20대였다. 매장 관계자는 “직접 제품을 만들면서 즐거움을 느끼는 것 같다”며 “최근 손님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고 말했다.
꽃시장에서 향을 직접 고르고 배합해 ‘나만의 디퓨저(방향제)’를 만드는 고객도 늘고 있다. 향뿐만 아니라 용기와 향이 스며드는 스틱을 소비자가 직접 고를 수 있다. 서울 강남고속버스터미널 화훼상가 관계자는 “향 종류만 200종이 넘는다. 직접 향을 고르는 재미가 있어 기성품보다 더 선호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담금주 만들기도 키트 상품 덕분에 최근 다시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용기를 구입하고 재료를 손질하는 등 번거로운 과정 때문에 잘 하지 않는 방식이지만 ‘담금주 키트’가 출시된 이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선 담금주 인증샷이 잇달아 올라오고 있다. 용기에 재료 배합이 모두 돼 있기 때문에 원하는 종류의 술을 넣어주기만 하면 된다. 롯데주류에 따르면 ‘처음처럼’ 담금용 소주 판매량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10% 이상 늘었다. 롯데주류 관계자는 “최근 전통 담금주부터 칵테일까지 다양한 키트들이 나오면서 관련 소비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재료 손질과 양념 배합이 모두 돼 있어 라면을 끓이는 것처럼 순서대로 넣기만 하면 되는 반조리 상품 밀키트(meal-kit) 시장도 커지고 있다. 전자레인지에 넣거나 물에 끓이기만 하는 가정간편식(HMR)과 달리 요리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야쿠르트에 따르면 밀키트 브랜드 ‘잇츠온’ 연간 매출은 출시 첫해인 2017년 90억 원에서 지난해 180억 원으로 급증했다. 업계는 올해 밀키트 시장 규모가 전년보다 2배 이상으로 커진 400억 원대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밀키트 시장은 2016년 동원홈푸드를 시작으로 한국야쿠르트, GS리테일, 현대백화점, 롯데마트, 갤러리아 등이 잇따라 뛰어들면서 매년 확대되고 있다. 올해 4월 밀키트 시장에 뛰어든 CJ제일제당은 올해 100억 원 매출 목표를 달성하고 3년 안에 1000억 원 규모로 브랜드를 키울 계획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메뉴는 비빔밥, 감바스 등 60여 종이며 2년 내 200여 종까지 메뉴를 늘릴 계획이다.
우리보다 먼저 밀키트 시장이 형성된 미국은 시장 규모가 지난해 기준 3조5340억 원까지 커졌고, 같은 해 일본도 8859억 원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금융기업 골드만삭스는 전 세계 밀키트 시장규모가 내년에 최대 50억 달러(약 6조800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강승현 기자 byhuman@donga.com
김태언 인턴기자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4학년